복쟁이국은 복숭아꽃이 지기 전에 먹어야…

    부안사람들이 ‘복쟁이’라고 부르는 복어는 볼록한 배, 맹렬한 독으로 상징된다. 허지만 복어만큼 맛 좋은 생선이 또 있을까? 육질이 쫄깃하고 지방이 적기 때문에 맛이 담백할 뿐 아니라, 비타민B가 풍부하여 영양 면에서도 손색이 없다. 또 미나리를 듬뿍 넣고 끓인 국은 해독작용을 하기 때문에 숙취에 아주 그만이다. 그러나 복어가 가지고 있는 “테트로드톡신”이라는 독은 맹렬해서 복어 무리 이외의 모든 동물이 죽을 정도의 무서운 독이다. 그러기에 예전에는 복어를 잘 먹지 않았다. 그물에 걸려든 복어들은 처치곤란으로 모조리 갯바닥에 버려졌다. 그 무렵에는 ‘누구네가 복쟁이국 잘못 먹고 …

비안도 크네기 갈치 배때기 맛 못 잊어…

    자라면서 제일 많이 먹었던 생선을 꼽는다면 아마도 갈치일 것이다. 보리고개 넘던 시절에 갈치를 많이 먹고 자랐다면 꽤나 잘사는 집안으로 오해할지 모르겠으나, 사실은 그렇지 않다. 갯가 마을에서 자란 덕이다. 내가 자란 변산의 마포 해안에는 드넓은 갯벌이 건강하게 발달되어 있다. 그 곳에는 어살이 두 곳에나 있었는데, 동네 아이들의 놀이터가 바로 그 어살이었다. 우리들은 갯가에서 공도 차고 망둥이 낚시도 하며 놀다가 물때가 되면 어살로 달려갔다. 물때에 맞춰 어살에 걸린 고기들을 다 잡아 올리려면 바쁘기 마련으로 우리가 좀 거들어 줄랴치면 어살 주인은 …

東海夫人

    홍합하면 포장마차가 생각난다. 추운 겨울 날 포장마차에서 맛보는 뜨끈한 홍합국물은 그렇게 시원하고 담박할 수가 없다. 소주 한 잔 하면서 안주로 홍합 살을 꺼내 먹는 맛도 달고 고소한 게 그만이다. 그런데 이럴 때면 친구들 사이에 농이 오고간다. 여성의 그것을 꼭 닮은 데다 털까지 나있으니 그도 그럴 수밖에…, 옛 사람들도 비슷한 생각을 했던 것 같다. 본초강목에는 홍합을 일명 동해부인(東海夫人)이라고 했다. 우리나라의 서해는 중국에서는 동해가 되는데, 그들 입장에서는 동해에서 나는 부인의 그것과 같이 생긴 것이라 해서 그런 이름을 붙인 듯 하다. …

[이용범 연작 시]지운 김철수5 – “마오쩌둥의 부음 듣고 심장 아렸습니다”

일본 유학 중에 사귄 의제 허백련의 기록에 보면, 김철수는 매사가 분명하여 일본 학생들과도 싸움이 잦았으며 유학생들 중에서도 그를 따르는 사람이 많았다. 하루는 일본에 있는 조선 청년회에서 일본의 저명한 문사 三宅雪嶺씨를 초빙, 시국강연회를 가진 적이 있었다. 三宅의 강연은 영국과 아일랜드가 합병하여 사이좋은 형제국이 되었듯이 일본과 조선도 그와 같은 사이라는 내용이었다. 맨 앞좌석에서 강연을 듣던 김철수는 강연 도중에 일어나 단상으로 뛰어 올라갔다. “이것은 강연이 아니오. 이런 강연은 들을 필요가 없으니 三宅은 내려가시오. ”김철수는 큰 소리로 외치며 三宅을 떠밀어 내려하였다. “끝까지 강연을 들어봅시다.”강연을 …

[이용범 연작 시]지운 김철수4 -“조선의 독립을 위해서라면…”

  식민지 시대에 의식 있는 청년들은 어느 곳에 있거나 무엇을 하든지 간에 머리 둘 곳 없는 외로움이 있었고 민족의 해방이 아니면 의미가 없다고 생각했다. 1915년에는 일본에 있는 친구들과 첫 비밀 결사인「裂指동맹」을 결성하였다. 장래 사방으로 흩어져서 독립운동을 할 것과 어느 곳에서든지 서로 연락을 하며 독립운동을 하자고 결의하였다. 그 뒤 두번째 비밀결사는 한국인 10명, 중국인 20명, 대만인 10명이 모여 「신아동맹단」을 결성하여 중국, 조선, 대만의 동지들과 일본에 대한 반제국주의 연대 투쟁을 벌일 것을 선언했다. 민족 문제로 고민하던 김철수는 식민지 시대에 겪는 고통의 근원은 …

해방조개를 아시나요?

    ‘뻐글뻐글헌 것이 징그랗게도 많네 그려… 참말로 오져 죽겄네’ 호미로 뻘을 긁어 내려가노라면 주어 담기 바쁘게 연달아 누런 몸뚱이를 드러내는 조개를 보며 아낙들이 좋아라 하는 소리다. 해방조개 얘기다. 해방되던 해, 허기진 배를 움켜쥐고 아스라이 보릿고개를 넘어야할 판국인데 설상가상으로 부안에 흉년이 들었다. 그런데 다행하게도 갯벌에 조개가 섰던 것이다. 어른들은 그 해 이 조개로 허기를 면했다하여 ‘해방조개’라고 부른다고 했다. 그 후로 자취를 감췄던 해방조개가 1960년대 초에 변산반도 마포 하섬 앞에서 변산해수욕장에 이르는 갯벌에 다시 섰다. 어찌나 서식밀도가 높은지 뻘 반 조개 …

[이용범 연작 시]지운 김철수3 – “귀신이 되어 곡귀곡귀 독립하자는 거지요”

    김철수는 18세 때 아버지를 대신해서 정읍에 간 적이 있었다. 이곳에서 떡을 주어서 먹었는데, 이 떡은 합방을 기념하는 떡이라는 말을 뒤에 듣고 떡을 개워내려하였지만 토하지 못했다. 집에 돌아오는 길에 두승산을 바라보면서 이 좋은 산천이 일본에게 넘어가는 것은 서로 싸우기만 하는 당파 때문이라며 일본의 침략을 막지 못한 것을 슬퍼하면서 눈물 흘렸다. 이 때, 앞으로 사는 동안 ‘내 사람’이나 ‘내 당파’를 만들지 않겠다고 결심 했다. 화호보통학교와 군산 금호학교에서 신학문을 공부하기 시작했고 일본으로 유학을 가서 와세다대학 정치과 전문부에 임학하였다. 1914년에는 친구 일곱 …

[이용범 연작 시] 지운 김철수2 – 당신 말년 지독히 가난했지만…

  한학자 서택환을 만나다 “김철수는 백산면 원천리에서 태어났다. 이곳은 동진강 수로가 닿는 곳으로 아버지는 쌀 위탁판매업을 하는 넉넉한 소지주였고 재주가 있는 이들의 교육에 열성이었다. 그 당시 이평면 말목에는 구례 군수를 지내다 부모 상(喪)을 당하여 군수직을 사직한 서택환이 서당을 열고 있었다. 김철수는 그를 통해서 한국의 선비 정신을 배웠으며, 민족의식에 눈을 뜨게 됐다. 서택환은, “우리나라가 다 망해 간다. 너희들이 일어나 독립운동을 해야 한다”라고 가르쳤다. 후일, 사상운동을 하다가 구속되어 재판을 받을 때, 예심판사가 누구를 사숙했냐고 묻자, 자신은 유학자인 서택환의 영향을 받은 사람이라고 주장하여 …

[이용범 연작 시] 지운 김철수1 – “그는 이미 큰 사람이었습니다”

이용범 시인은 그의 두 번째 시집 ‘남은 사람은 떠난 사람에게'(2006년)에 ‘지운 김철수’ 연작시 26편을 발표했다. 부안21은 이 시인의 허락을 얻어 이 시들을 연재해 올릴 계획이다. /부안21   지운 김철수 · 1 1893년 부안군 백산면 원천리에서 태어났습니다 화호보통학교 다니면서 일본인 선생에게 일본 아이와 성적이 뒤바뀌었다고 통 크게 따진 어린 시절 그는 이미 큰 사람이었습니다 /이용범

‘남은 사람은 떠난 사람에게’

  포구는 이미 자신이 더 이상 포구가 아닌 줄 압니다 뱃길은 진작 지워진 손금이고요 메마른 갯벌에 햇살은 차라리 서럽습니다 봄입니다 빈 포구에 물결 대신 봄바람이 일렁입니다 갈대는 그리움으로 흔들립니다 [알림] 이용범 두 번째 시집 출판기념 떠난 사람은 남은 사람에게 남은 사람은 떠난 사람에게 그리운 편지를 씁니다 나문재가 불긋 파릇한 글씨로 마른 갯벌에 받아씁니다 ㅊㅏㅁㅁㅏㄹㄹㅗ ㄱㅡㄹㅣㅂㄷㅏㅇㅣㅇ 이용범 시 이용범 시인은 부안 줄포에서 태어나 원광대 국문과를 졸업했다. 원광대 재학시절 고려대 현상문예(1985년), ‘소설문학’ 신인상(1986년) 당선으로 문단활동을 시작했으며, 5세대 동인으로 활동 중이다. 동인시집으로는 <그리움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