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풀숲’이 된 덕림초등학교의 오랜 기억

  주산면에는 주산초등학교와 덕림초(주산면 덕림리 487-3), 석계초(주산면 백석리 579-7), 그리고 동정초(주산면 동정리 388)가 있었지만 현재는 주산초등학교만 남아 있고 나머지 학교들은 폐교가 되어 부지만 덜렁 남아 있다. 폐교된 덕림초등학교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나 쉽지 않았다. 부안군지 및 40여 년 전에 발간된 옛 자료(부안 얼-1986) 등에서 덕림의 연혁을 찾고 졸업생과의 대화를 통해 이 글을 이어가고자 한다.   숲이 울창했다던 덕림(德林)에 생긴 국민학교 덕림리(德林里)는 숲이 울창했으므로 덕림(德林)이라 했다. 덕림 주변 마을 아이들은 주산국민학교를 다녔는데, 당시 주산국민학교는 학생 수 과밀화(1957년 1817명, 1958년 1959명, 1959년 1905명)가 …

고루살이를 꿈꾼 석정의 삶과 문학

    고등학교 3학년 때인 1971년 늦가을 무렵으로 기억된다. 전주시 고교학생반공웅변대회에서 한 학생이 해방 직후 북한 주민들이 젊은 유격대장 김일성 장군을 환영하며 만세를 불렀다는 사실을 말하는 과정에서, 실감나게 표현하려고 두 팔을 들어 올리고 큰 소리로 ‘김일성 장군 만세! 만세!’하고 외친 것이 문제가 됐다고 한다. 그 학생은 가짜 김일성에 평양 시민이 속았다는 것을 이어서 말하려 한 것인데, 그 부분에서 중단이 되고 대회장은 금세 얼어붙었다고 한다. 이를 빌미로 당시 전주상고에 근무 중인 신석정 선생이 배후 조종자로 경찰서에 불려가 조사를 받았다고 했다. 귓속말로 …

오새만금245

‘갯벌살리기’에 국가가 나섰다. 독일 슐레스비히-홀스타인주 갯벌국립공원 | 2007·10·04 02:13 | ▲ 염생식물이 자라는 구역은 사람이 들어갈 수 없는 구역이다. 관광객들은 사람이 오갈 수 있는 포장된 길로만 다닌다. 주변에는 사람이 버린 쓰레기라고는 일체 발견할 수 없었다. 쓰레기통도 설치되어 있지 않았다. 한참을 걸어나가 염생식물지대를 지나 바닷물이 밀려드는 곳에 이르렀다. 모래펄갯벌로 단단했으나 하부로 더 내려가자 발이 푹푹 빠지는 뻘갯벌이 나타나기 시작했다. 독일 슐레스비히-홀스타인주 갯벌국립공원 50만년전 와덴해가 속한 북해는 육지로 영국과 이어져 있었으며 유럽 북부는 빙하가 덮고 있었다. 빙하가 녹으며 해안이 침수 되었고 독일의 북해 연안은 …

[부안의 설화] 보안 선돌과 장자못 설화-“중의 바랑 속에 두엄을 가득 넣어…”

  보안면 상입석리 뒤 언덕에는 욕심 많은 사람을 징계한다는 교훈적인 전설이 전해오고 있는 높이 2.7m쯤 되는 돌(선돌, 立石)이 서 있다. 그러한 여유로 마을 이름도 입석리(立石里)이다. 지금부터 1100년여 년 전 신라 51대 진성여왕 무렵에 이 입석리에서 동쪽으로 4km쯤 되는 장자터 마을에 욕심 많고 인색한 큰 부자가 살았는데 너무나 나쁜 짓만 하여 많은 사람들로부터 미움을 받고 있었다. 그러던 어느 날 허름하게 생긴 중이 찾아와서 시주를 청하는 염불을 하니 욕심꾸러기 그 부자 영감이 중의 바랑 속에 두엄을 가득 넣어 주었다. 고맙다고 염불을 외우며 …

평생 구경하기 힘들다는 ‘대꽃’-부안예술회관에 피었어요

  평생에 구경하기 힘들다는 대꽃이 피었다. 부안예술회관 화단에 옮겨 심어 놓은 왕대나무에 꽃이 핀 것이다. 사진에서 보듯이 벼나 보리의 꽃과 비슷하며 엷은 녹색을 띠고 있다. 나무도 아닌 것이 풀도 아닌 것이… 나모도 아닌 거시 플도 아닌 거시 곳기는 뉘 시기며 속은 어이 뷔연는다. 뎌러코 사시예 프르니 그를 됴햐 하노라. 나무도 아닌 것이 풀도 아닌 것이 곧기는 누가 시켰으며 속은 어이하여 비어 있는가. 저렇게 사계절에 푸르니 그것을 좋아하노라. 고산 윤선도의 오우가(五友歌) 중 절개를 상징하는 대나무를 찬양한 노래다. 외떡잎식물 벼목 화본과에 속하는 …

호랑이를 닮은 ‘범게’

  부안시장 어물전에 가면 가끔 범게를 볼 수 있다. 어부들이 쳐놓은 그물에 걸려든 것이다. 게장을 담가 먹으면 맛있다며 권하지만 이 게가 얼마나 귀한 게인지는 그들이 알 리가 없다. 범게는 지구상에서 유일하게 우리나라 서해에서만 산다. 그런데 해양환경의 변화와 남획으로 인해 개체수가 날로 줄고 있어 보호대책이 시급하다. 생김도 범상치가 않다. 얼핏보아 호랑이를 연상케할 만큼 위엄스러우면서도 화려하다. 그러나 성질은 온순한 편이다. 몸은 큰 것의 너비가 10cm 정도의 둥근 모양이다. 몸 가장자리에 가시처럼 예리한 돌기가 머리 쪽에 7개, 몸 가장자리를 따라 6개가 나있다. 집게발은 …

“사월, 꽃들이 아우성칩니다”-산자고(山慈姑)

  완연한 봄이다. 봄꽃들이 서로 먼저 피려고 아우성을 치고 있다. 복수초, 변산바람꽃은 졌고, 노루귀, 꿩의바람꽃은 만개이다. 그 뒤를 이어 산자고, 개별꽃, 제비꽃, 현호색, 양지꽃 등이 앞을 다투며 피고 있고, 구슬봉이. 홀아비꽃대, 반디지치, 노랑붓꽃 등은 꽃피울 채비를 하고 있다. 그 중에서 산자고는 노루귀, 꿩의바람꽃, 개별꽃, 현호색 등과는 달리 깊은 산에 들어가지 않아도 쉽게 만날 수 있다. 숲가장자리 양지바른 밭둑에서도 만날 수 있기 때문이다. 어릴 적 한약방집 친구가 있었다. 한의원이신 친구 아버지는 우리들에게 가끔 밭둑이나 야산 등지에서 약이 되는 식물들을 채집해 오라 …

“물맛이 달아 젖과 같으므로 늘 차를 달였다”-원효방의 유천(乳泉)과 변산의 차(茶)문화

  원효방 유천(乳泉) 개암사 뒷산이 이고 있는 울금바위에는 남. 북. 서 세 곳에 굴실이 있다. 북쪽의 굴실은 세 곳 중 가장 협소하며 백제부흥운동 당시 군사들을 입히기 위해 베를 짰다해서 베틀굴이라 전해지고 있으며, 서쪽의 굴실은 세 곳 중 가장 큰 굴로 역시 백제부흥운동 당시 복신이 거처한 굴이라 하여 일명 복신굴이라고 불리고 있다. 남쪽의 굴실은 바위절벽 중간에 위치하고 있다. 지표에서 10여 미터나 되는 암벽중간에 있어 사다리가 없이는 도저히 오를 수가 없는 곳이다. 굴실의 크기는 6∼7평정도이고, 이 굴실 바로 옆에는 마치 칸막이를 해놓은 …

“중이 죽은 벼랑 ‘중중다랑'”-계화도 장자울 중중다랑과 약수터

  계화산 서남쪽으로 살끄미를 지나 장자울 고개를 넘으면 비안도 고군산열도가 발 아래 보이는 절벽이 나오는데 이 절벽에 중중다랑이 있고 이 중중다랑 밑에 약수터가 있다. 이 약수는 그 효험이 매우 신통하여 불치의 병에도 약이 됨은 물론 아이를 못하는 여인이 마시면 아이도 낳는다는 약수인데 조수가 많을 때는 약수가 바닷물에 잠긴다. 약수터 위의 층층한 절벽을 ‘중중다랑’이라 부르는데 이 절벽의 난간에 앵두나무가 많이 자라고 있어 예쁜 앵두가 많이 열린다. 옛날 어떤 중이 이곳을 지나다가 때마침 먹음직스러운 앵두가 많이 열렸으므로 위험한 절벽의 난간을 의지하여 지팡이로 …

[부안의 설화]거석리와 여장사-“여장사가 돌을 들어다 놓았다 하여 ‘들독거리'”

  내변산 청림 삼거리에서 바디재 쪽으로 가다보면 노적마을 지나 마을이 하나 더 나오는데 이 마을이 바로 상서면 청림리 ‘거석’마을이다. 이름에서 느껴지듯이 이 마을은 돌과 관계가 있다. 이 마을에 들어서면 바디재 중턱에 우뚝 솟아 있는 거대하고도 우람한 남근처럼 생긴 바위가 눈에 들어온다. 부안의 모 향토사학자는 “바디재에는 세계에서 제일 큰 거석(巨石, 일명 남근석이라고도 일부 주민은 부르고 있음)이 우뚝 서 있다.”고 그의 변산여행안내 책자에 소개했는데, 그 바위가 정말 세계에서 제일 큰 거석인지는 모를 일이다. 어쨌든 어느 지역에나 남근바위가 있어 소개가 많이 됐는데, 거석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