등운과 월명

  부설전의 속편이라 할 수 있는 그 후속 전설이 파다하게 전해지는데, 그 전후를 생략하고 그 대략의 내용을 옮긴다. 월명은 오빠 등운과 함께 발심하여 수도하고 있을 때, 월명의 아름다움에 끌린 부목(負木, 절에서 땔나무를 해오는 사람, 불목한)이 월명에게 욕정을 품고 접근하였다. 월명은 그 부목의 간절한 요구를 거절해야 할 것인가, 어떤가를 오빠 등운게 의논하였다. 등운은 부목이 그렇게 소원하는 것이라면 한 번쯤 허락해도 좋다고 했다. 월명은 부목에게 자기 몸을 내맡겨 그의 소원을 들어 주었다. 부목은 그 일에 대하여 누이 월명에게 소감을 물었다. 월명은 “허공에 …

부설거사와 월명암

  월명암에는 월명암을 창건했다는 부설거사에 얽힌 전설을 바탕으로 쓰여진 소설형식의 “부설전”이 전해내려오고 있다. 전라북도에서는 문화재적 가치가 높은 이 ‘부설전,을 도 유형문화재 제140호로 지정하여 보존하고 있다. 그 내용을 살펴보면 부설이 신라 진덕여왕이 즉위하던 해 수도인 서라벌 남쪽 향아라는 마을에 태어나서 성장하는 과정, 도반인 영조, 영희와 함께 수도생활을 하면서 나눈 법담과 부설거사의 오도송이 기록되어 있고, 사부송과 팔죽시도 함께 기록되어 있다. 저자와 연대는 미상이다. 세상에는 부설거사와 묘화부인에 대한 여러 설화가 전해내려오고 있는데, ‘부설전’의 원본대역은 다음 기회에 옮기기로 하고, 우선 정진형(鄭鎭亨)의 부설거사와 묘화부인에 대한 …

호랑이등긁기나무

  호랑가시나무 천연기념물 제122호 진초록의 6각형 잎, 붉은 열매가 아주 매혹적인 호랑가시나무는 변산을 대표하는 식물이라고 해도 과언이 아닐 것이다. 감탕나무과에 속하는 이 나무는 따뜻한 지방에서만 자라는 남부의 대표적 수종으로 그 북방한계가 바로 변산반도이다. 그래서 도청리 모항에 군락을 이루고 있는 호랑가시나무는 1962년에 천연기념물 제122호로 지정, 보호되고 있다. 이 나무는 키가 2∼3m까지 자라며 겉 가지가 많다. 잎의 길이는 3∼5cm정도이며 타원형 육각형으로 매끈하니 광택이 난다. 각점에는 가시가 나있는데 이는 잎 끝이 자연스럽게 둘둘 말려져 있어 그렇게 느껴질 뿐이다. 어쨌든 이 날카롭고 강한 잎의 …

그 많던 황금조기는 다 어디로 갔을까?

  사진1~2/영광굴비, 조기어장의 중심지인 위도는 한 때 영광군에 속했었다. 사진3/곰소만, 해마다 살구꽃이 필 무렵부터 조기떼가 몰려 들었다. 사진4/곰소염전, 칠산바다 갯벌 한 자락을 막아서는 소금을 구웠다. 이렇게 생산된 소금은 젓갈과 염장가공기술을 발달시켰다. 사진5/칠산어장의 중심 어장인 위도 파장금항, 조기떼가 몰려오던 70년대 중반까지만 해도 조기철엔 ‘파시’가 들어섰다. 사진6/위도띠뱃굿. 한 해 동안의 묵은 재액을 싣고, 풍어의 꿈을 싣고 떠나가고 있다. 농어목 민어과에 속하는 조기류에는 황조기(참조기)를 비롯하여 그 사촌격인 백조기, 부세, 반어, 황세기, 강다리 등이 있다. 몸의 길이는 큰 것이 25∼30cm 정도, 그러나 이렇게 큰 …

[이용범 연작시]지운 김철수10-“손꼽아 기다리든 甲子年을 맞았지만…”

    지운 김철수 · 10 해방 이후 남북이 갈라진 현실이 참으로 안타까웠습니다 온 몸이 부서지고 찢어질듯 아팠습니다 견딜 수 없어서 기른던 닭이며 돼지를 팼습니다 저나 내가 기진맥진할 때까지 同志들의 피가 동지들의 죽음의 댓가가 이것이었더란 말이냐 /이용범 (기사작성 2007·06·07)

갯벌의 만능 엔터테이너 말뚝망둥어

    갯벌을 기는가 하면 뛰고, 말뚝이나 바위 위를 오르고, 물 위를 헤엄치고, 잠수하는가 하면 물위를 뛰어다는 놈이 있다. 바로 말뚝망둥어다. 말뚝망둥어는 짱뚱어와 매우 비슷하게 생겼으나 짱뚱어보다는 작고, 먹이도 짱뚱어는 진흙 위에 있는 돌말을 가늘고 날카로운 이로 갉아 먹는 대신, 말뚝망둥어는 새우나 갯지렁이, 작은 게 등 동물을 먹는다는 점이 다르다. 또한 분포도 짱뚱어보다 넓어 우리나라를 비롯하여 동남아시아, 아프리카까지 널리 분포하고 있다. 몸길이는 10cm 정도, 짙은 회색에 검은 줄무늬가 있고, 눈이 많이 튀어나와 있는데 좌우가 따로따로 잘 움직이며, 하늘과 물 속을 …

화로불에 구워먹던 보디조개

  화로불에 밤이나 고구마를 구워먹었다면 모를까, 조개를 구워 먹었다면 의아해들 할 것이다. 그러나 의아해 할 게 없다. 원래 조개류는 구워 먹어야 제맛이다. 양념을 할 필요도 없고, 간을 맞추지 않아도 된다. 아궁이 불이나 화로불에 조개의 꼭지부분을 넘어지지 않게 잘 꽂아두고 한참 있으면 ‘피이~’ 소리를 내며 조가비가 쫙 벌어지는데, 이때 화로불에 떨어지는 조가비 속의 국물로 인해 살은 온통 재를 뒤집어쓰기 마련이다. 은박지가 흔한 요즈음이야 은박지에 싸서 구우면 그럴 리가 없겠지만… 그래도 재 닦아내며 먹는 이 조개 맛은 일품이다. 이런 구이용 조개는 뭣보다도 …

일곱색깔로 변하는 칠면초

    칠면초(Suaeda japonica MAKINO 명아주과) 칠면초는 조간대 상부의 진흙성분이면서 비교적 딱딱한 갯벌에서 소금기 있는 물을 머금으며 자라는 염생식물이다. 나서 질 때까지 일곱가지 색갈로 변한다고하여 칠면초라 불린다는데 이맘 때면 벌써 갯벌을 곱게 단장하기 시작한다. 나문재, 해홍나물과 비슷하게 생긴 칠면초는 30~40cm 높이까지 자라며 줄기는 곧게 서고 통통하다. 갯벌의 자연정화조 역할을 톡톡하게 하며 물새들에게는 훌륭한 휴식처가 되기도하고, 줄기를 물새들의 먹이로 내주기도 한다. 그런가 하면 여린순은 나문재와 함께 나물을 무쳐먹는데 요즘 웬만한 부안의 식당 식탁에 자주 오른다. 동진강 하구역인 문포, 줄포 등지에서 군락을 …

추억의 꽃 “紫雲英”

  1 껌도 양과자도 쌀밥도 모르고 살아가는 마을 아이들은 날만 새면 띠뿌리와 칡뿌리를 직씬 직씬 깨물어서 이빨이 사뭇 누렇고 몸에 젖은 띠뿌리랑 칙뿌리 냄새를 물씬 풍기면서 쏘 다니는 것이 퍽은 귀엽고도 안쓰러워 죽겠읍데다. 2 머우 상치 쑥갓이 소담하게 놓인 식탁에는 파란 너물죽을 놓고 둘러앉아서 별보다도 드물게 오다 가다 섞인 하얀 쌀알을 건지면서 <언제나 난리가 끝나느냐?>고 자꾸만 묻습데다. 3 껍질을 베낄 소나무도 없는 매마른 고장이 되어서 마을에서는 할머니와 손주딸들이 들로 나와서 쑥을 뜯고 자운영순이며 독새기며 까지봉통이 너물을 마구 뜯으면서 보리 고개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