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사(가사)(김봉기)

  • 종 목 : 전라북도 무형문화재 제34호 • 분 류 : 무형유산 / 전통연행/ 음악/ 민속음악 • 지정(등록)일 : 2006.06.30 • 소 재 지 : 전북 부안군 • 관리자(관리단체) : 부안군   우리나라의 성악(聲樂) 중 정가(正歌)는 가곡(歌曲)·가사(歌詞)·시조(時調)를 통칭하여 사용되는데, 그 중 가사는 조선조 중엽 이후부터 불려오던 장편 가사의 성악곡으로 가사(歌詞)와 가사(歌辭)라는 2가지 명칭이 있으며, 조선 전기에 지어진 100행 내외의 것을 가사(歌詞)라 하고, 조선 후기에 지어진 장편의 것을 가사(歌辭)라 하여 그 둘을 구별하자는 견해도 있으나 오늘날에는 문학장르 명칭으로 가사(歌辭)라는 용어가 보편적으로 사용된다. …

대목장(대목)(김정락) (大木匠)

• 종 목 : 전라북도 무형문화재 제30호 • 분 류 : 무형유산 / 공예기술/ 목칠공예/ 목공예 • 지정(등록)일 : 2004.09.10 • 소 재 지 : 전북 부안군 부안읍 내외리 276 • 관리자(관리단체) : 부안군   나무를 다뤄 가구나 집을 짓는 사람을 목장(木匠), 목공(木工), 목수(木手)라 부른다. 기록상으로 보면 목장은 삼국시대부터 있었고, 이 목장 가운데 궁궐이나 사찰 또는 가옥을 짓고 건축과 관계된 일을 대목(大木), 그 일의 전 과정의 책임을 지는 장인, 즉 목수의 우두머리가 바로 대목장(大木匠)이다. 소목장(小木匠)은 가구·문짝·반자·난간과 같은 목공일을 하는 목장을 …

사기장(청자)(이은규) (砂器匠)

• 종 목 : 전라북도 무형문화재 제29호 • 분 류 : 무형유산 / 공예기술/ 도자공예/ 자기공예 • 지정(등록)일 : 2004.09.10 • 소 재 지 : 전북 부안군 부안읍 유천리 166-41 • 관리자(관리단체) : 부안군   부안 유천리 청자가마터는 전라남도 강진의 청자가마터와 함께 우리나라 청자의 대표적 생산지로서 고려시대 11세기부터 14세기에 걸쳐 세계에 자랑할 만한 순청자, 상감청자를 굽던 곳이다. 이곳 넓은 벌판의 구릉 주위에는 40여개소의 가마터가 산재해 있는데, 1930년대 일본인들이 발굴하면서 우수한 파편을 가진 가마터의 퇴적층은 거의 파기되었으며, 또 이곳에서 나온 수백 …

죽염제조장(죽염제조)(허재근) (竹鹽製造匠(竹鹽製造))

종 목 : 전라북도 무형문화재 제23호 분 류 : 무형유산 지정(등록)일 : 1999.10.08 소 재 지 : 전북 부안군 변산면 도청리 산1-3 관리자(관리단체) : 부안군 중국 남북조시대의 본초연구가인 도은거(陶隱居)는 사람에게는 오미(五味-단맛, 신맛, 쓴맛, 짠맛, 매운맛)가 있는데, 이 중에서 짠맛만은 빠뜨릴 수 없다고 했다. 그러나 그는 또, “서방, 북방사람은 지나치게 짜게 먹지 않으므로 장수 하는 이가 많고, 질병이 적으며, 안색이 좋고, 동방, 남방 사람은 짠 것을 기호하므로 장수하는 이가 적고, 질병이 많으니, 이는 곧 사람에게 손(損)을 부른 것으로 폐(肺)를 손상케 한 …

부안농악(상쇠)(라모녀) (扶安農樂)

• 종 목 : 전라북도 무형문화재 제7-1호 • 지정(등록)일 : 1987.12.31 • 소 재 지 : 전북 부안군 부안읍 서외리 319 • 관리자(관리단체) : 부안군   부안농악은 우도가락인 부안지방의 유일한 농악보존회이다. 부안은 김바우걸립패 이후 판굿을 벌일만한 농악단이 없었다. 이 무렵 설장구의 기능보유자이자 우도농악의 제1인자이기도 했던 고 이동원 선생이 50여년의 세월동안 익혀온 우도가락을 부안지방에 보급하여 1983년 전국대회 우승과 1986년 제4회 전국농악경연대회에서 대통령상을 수상하면서부터 부안농악의 전통이 다시 살아나 1987년 전라북도 무형문화재 제7-1호(상쇠예능보유자 라모녀羅摸女)로 지정되었다. 상쇠예능보유자 라모녀 선생의 쇠가락과 부포놀이를 바탕으로 한 상쇠춤은 …

개암사응진전16나한상(開巖寺應眞殿16羅漢像)

• 종 목 : 전라북도 유형문화재 제179호 • 분 류 : 유물 / 불교조각/ 석조/ 나한상 • 수량/면적 : 16구 • 지정(등록)일 : 2000.03.31 • 소 재 지 : 전북 부안군 상서면 감교리 714 • 시 대 : 조선시대 • 소유자(소유단체) : 개암사 • 관리자(관리단체) : 개암사 개암사 응진전에는 석가모니를 중심으로 아난존자와 가섭존자를 봉안하고, 그 좌우로 다양한 자세를 취한 16나한을 모셨는데, 각자 재미있는 표정들을 하고 있다. 개암사에 전해 내려오는『발원기』와『사적기』등의 기록에 의하면 이 나한상은 조선 숙종 3년(1677)에 조성한 것으로 각각의 나한이 지닌 …

용화사미륵불입상

• 종 목 : 전라북도 유형문화재 제171호 • 분 류 : 유물 / 불교조각/ 석조/ 불상 • 수량/면적 : 1구 • 지정(등록)일 : 1999.07.09 • 소 재 지 : 전북 부안군 행안면 역리 336-1 • 시 대 : 고려시대 • 소유자(소유단체) : 용화사주지(박재원) • 관리자(관리단체) : 용화사주지(박재원) 용화사미륵불입상은 행안면 역리 송정마을 뒷쪽 고성산 기슭 용화사(龍華寺) 경내에 있는 높이 4.5m 정도의 석불입상으로, 미래세계에 나타나 중생을 구제한다는 미륵부처를 표현한 작품이다. 시멘트로 지대석을 조성하고 그 위에 석불을 세워놓았다. 석불의 앞면은 섬세하게 조각하였으나 뒷면은 조각을 …

부설전(浮雪傳)

• 종 목 : 전라북도 유형문화재 제140호 • 분 류 : 기록유산 / 문서류/ 민간문서/ 기타류 • 수량/면적 : 1책 • 지정(등록)일 : 1992.06.20 • 소 재 지 : 전북 부안군 변산면 중계리 산96-1 • 소유자(소유단체) : 월명암 • 관리자(관리단체) : 월명암   변산 제2봉인 쌍선봉(雙仙峰 498m) 아래 산상(山上)에 자리한 월명암은 신라 신문왕 11년(691년)에 부설거사(浮雪居士)가 창건하였다. 그 후 여러 차례의 중수를 거쳐 내려오다가 임진왜란 때 불타 없어진 것을 진묵대사(震默大師)가 중창하였고, 1863년(철종 14)에는 성암화상(性庵和尙)이 크게 고쳐 대사찰의 면모를 갖추게 되었으나 한말에 …

내소사설선당과요사(來蘇寺設禪堂과寮舍)

• 종 목 : 전라북도 유형문화재 제125호 • 분 류 : 유적건조물 / 종교신앙/ 불교/ 당우 • 수량/면적 : 1동 • 지정(등록)일 : 1986.09.08 • 소 재 지 : 전북 부안군 진서면 석포리 268 • 소유자(소유단체) : 내소사 • 관리자(관리단체) : 내소사   내소사 설선당과 요사는 1640년(인조 18)에 청민선사에 의해 절 안의 승려들과 일반 신도들의 수학정진 장소로 사용하기 위하여 지어진 건물로 중앙내부에 마당과 우물을 두고 “回”자형으로 연결되어 있는 특이한 건축양식이다. 설선당은 정면 6칸, 측면 3칸으로서 맞배지붕을 하고 있으며, 건물 동편의 …

개암사동종(開岩寺銅鐘)

    • 종 목 : 전라북도 유형문화재 제126호 • 분 류 : 유물 / 불교공예/ 의식법구/ 의식법구 • 수량/면적 : 1구 • 지정(등록)일 : 1986.09.08 • 소 재 지 : 전북 부안군 상서면 감교리 714 • 소유자(소유단체) : 개암사 • 관리자(관리단체) : 개암사   개암사동종은 전체높이 89㎝, 구경 61.5㎝의 크기로서 종신의 견부(肩部)에 사각형의 구획을 연결한 견대를 형성하고 있다. 그 안에 범어(梵語)와 2행의 한자명문이 양각되어 있으며, 견대의 아래에 4각형 모양의 유곽(乳廓)과 보살이 4개씩 교차로 배치되어 있는데 보살입상은 구름위에 천의를 입고 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