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형주119 [아름다운 우리말 마을이름들-13] 진서면(鎭西面)-곰소, 여룬개, 돌개, 대소꼴, 원바위재, 거무진말

진서면 진서리 구진마을. 고려시대 이래로 서해를 지키는 수군(水軍)이 주둔하고 있었던 검모진(黔毛鎭)이 있었다. 지금도 이 마을을 검모진이라고 부른다.ⓒ부안21

진서(鎭西)라는 땅이름은 진영(鎭營)이 있는 곳의 서쪽이란 뜻이다. 지금의 진서면 곰소항의 동쪽 구진(舊鎭)마을에는 고려시대 이래로 서해를 지키는 수군(水軍)이 주둔하고 있었던 검모진영(黔毛鎭營)이 있었다. 곰소의 앞바다를 검모포라 하였으며, 서해바다의 군사적 요충지로 1274년 고려 충선왕(忠宣王) 1년에 여몽동정연합군(麗蒙東征聯合軍)이 일본을 정벌하러 갈 때 그 수송선과 전함 900척을 건조했던 곳도 장흥(長興)의 천관산(天冠山)과 이곳 변산(邊山)의 검모포진영이었다.

그 후 1812년(純祖 12)에 무슨 사유에서였는지는 알 수 없으나 검모포진영이 지금의 진서마을 초등학교 자리로 옮겨졌으며, 이로 인하여 종전의 검모포진영이 있었던 마을을 구진이라 하고, 새로 옮겨진 곳의 마을이름을 진서리(鎭西里), 또는 신진리(新鎭里)라 하였으니 진서라는 땅이름은 1812년 이후에 역사·문화의 변천과정에서 생성된 땅이름임을 알 수 있다.

지금의 진서면은 조선시대에는 좌산방(左山坊·面)이라 하였는데 1914년에 일제(日帝)가 군면을 통합 개편하면서 우산방(右山坊)과 병합하여 산내면(山內面)이라 하였으며, 줄포항(茁浦港)이 토사의 유입으로 점차 폐항되어 감에 칠산바다의 황금어장에서 잡히는 엄청난 해산물의 집하 어항이 절실하게 되어 1938년에 곰소(熊淵)를 중심으로 인공어항(人工魚港)을 개설하니 염전까지 생겨나면서 크게 발전하기 시작한 것이다.

해산물의 유통과 인구의 급증으로 진서지방의 발달이 활발하여지면서 1983년 2월 15일자로 산내면에서 분리 독립하여 진서리(鎭西里), 석포리(石浦里), 운호리(雲湖里) 등 세 법정 행정리를 중심으로 23개의 자연마을로 진선면이 생겨난 것이다.

진서면에 남아 있는 옛 우리말 마을이름에는 어떤 것들이 있나 살펴본다.

● 곰  소 : 웅연(熊淵), 웅소(熊沼). 진서리 남쪽 어항. 곰섬의 앞 바다에 깊은 소(沼)가 있어 곰소라 하였다 한다. 이 소를 여울개라 하는데 칠산바다의 수호신인 개양할머니가 이곳을 건너다가 무릎까지 빠졌다는 전설이 있다. 고려말 우왕 5년에는(1379년) 왜구(倭寇) 50여 척이 이곳으로 침입하여 보안현과 부령현을 점령한 일도 있었던 곳이다. 지금의 곰소항은 1938년에 인공으로 만들어진 항구다. 구진 서편의 범섬(虎島)과 곰섬 사이의 바다를 막아 어항을 조성하고 그 북쪽 둥근 호수처럼 생겨난 90㏊의 공지에 염전을 조성하였다.

● 동  끝 : 구진마을 동쪽 끝 마을.

● 서  끝 : 구진마을의 서쪽 끝 마을.

● 거무진말 : 거무진 마을, 구진 마을. 검모포진영(黔毛浦鎭營)이 있는 마을이란 뜻. 곰소의 동쪽 해변 마을이다. 마을의 서편 끝 산등성이에 옛 진영의 관아건물이 들어섰던 자리가 남아 있고 그 옆으,로 수 백년된 느타나무 당산목이 마을의 지킴이로 받들어져 오고 있으며 산등성이로는 무너진 성벽의 자취가 완연히 남아 있다..

● 까치섬 : 작도리(鵲島里). 곰소의 서북쪽 마을. 고려자기 도요지가 사적 제70호로 지정 보전되어 오고 있다.

● 곰  섬 : 웅도(熊島). 곰소 서쪽 끝자락 당재가 있는 나랫산의 별칭. 당재에는 검모포앞 바다를 수호하는 해신을 모신 당집이 있었으며, 섣달 그믐날에는 풍어와 안녕을 비는 풍어제를 지냈었다. 이 당제 밑에서 고창군 부안면의 반월리로 내왕하는 나룻배가 내왕하였다고 한다.

● 방죽안꼴 : 진서리의 서쪽 방죽이 있는 골짜기 마을.

● 백  개: 백포(白浦), 배포. 진서리 서북쪽 마을. 예전에 마을앞까지 개(浦)였다고 함.

● 뱁재고개 : 뱁재(布峙). 백치(柏峙) 또는 환의재(換衣峙). 백개에서 동으로 넘어가는 고개. 서낭당이 있었다.

● 범  섬 : 곰소의 동쪽 입구의 작은 산 곰소항이 개설되기 전까지는 섬이었으며, 이 범섬과 서편의 곰섬을 인공으로 연결하여 곰소항이 조성된 것이다.

● 아뒷꼴 : 구진마을 뒤, 옛 관아(官衙: 검모진의 진영을 말함)가 있는 뒤 골짜기란 뜻.

● 아래끄테 : 진서리의 아래쪽 끝 마을이란 뜻이다.

● 웃끄테 : 진서마을의 위쪽 끝 마을.

● 번덕지 : 버덩, 번덕. 높직한 언덕배기란 뜻으로 곰소의 북서쪽 마을. 곰소항이 개설될 때 인부들의 식당(한바집)이 이곳에 있었는데 그로 인하여 마을이 이루어져 마을 이름이 번덕지다.

● 회양골 : 진동마을 북쪽 내변산으로 들어가는 골짜기에 있었던 마을. 지금은 폐촌되었다.

● 여룬개 : 운호리(雲湖里). 돌개의 서남쪽 마을.

● 관선불 : 관선(觀仙)부리. 여룬개의 동남쪽 바닷가 마을. 마을뒤에서 북쪽으로 바라보면 신선대(神仙臺)에서 놀고 있는 신선이 보인다 하여 붙여진 이름이라 한다. 관선불(觀仙佛)이라 하여 신선과 부처님을 함께 볼 수 있다고도 한다.

● 까치댕이 : 작당멀, 작당(鵲堂). 여룬개 남서쪽 해변 마을.

● 돌  개 : 석포리(石浦里), 석도리. 내소사 입구 대소꼴로 넘어가는 곳의 마을.

*  노돌고개 : 노돌재(路乭峙). 돌개(石浦)에서 운호리로 넘어가는 고개 이름. 옛날에는 고개밑에 쥐어가는 주막이 있었다.

*  쌍개목 : 마동의 서쪽 디목과의 중간 바닷가. 1938년에 곰소항이 조성되기 전에는 이쪽 좌산면의 물화는 여기에서 줄포나 띠목. 격포. 위도 등지로 운송되었던 요지였다고 함.

*  아홉구미재 : 아홉그미재(九九味 ; 九金). 마동에서 띠목 방면으로 넘어가는 고개. 지형이 곶이형으로 된 고개. 진서와 변산면의 경계지역이다.

● 대소꼴 : 석포리 북쪽 산골짜기에 있는 마을. 대소(大沼), 혹 대소(大蘇)꼴이라 하나 이는 잘못이다. 대소꼴에는 큰 소(沼)가 있으며, 신선대, 망포대쪽의 물줄기가 흐르면서 이 소를 이루고 흘러내려 그 아래에 직소(直沼)를 이룬다. 대소래사(大蘇來寺)라는 절이 이곳 대소꼴에 있었는데 1870년 큰 산불로 타버렸다는 기록이 《부안지(扶安志)》에 보인다. 지금은 인가 4호가 있을 뿐이다.

● 점  뜸 : 관선불 옆의 해변. 1960년경까지 벌뜽을 설치하여 소금을 구웠다.

● 원바위재 : 원암재, 잿백이. 원암리 뒤 직소(直沼)로 넘어가는 긴 등성이. 내소사 서남쪽의 재.

● 절  꼴 : 내소사 입구 동쪽 입암마을.

● 구렁이꼴 : 절꼴의 동북편 석포땀이 있는 골짜기. 구룡꼴(九龍). 아홉 마리의 용이 산다는 전설이 있다고 함.

2008·08·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