집 지킴이 신의 우두머리 신 ‘성주신-성주신(成主神) 이야기

김형주의 부안이야기-집지킴이 신을 섬기는 민간신앙<2>

▲성주단지ⓒ부안21

우리 민속에 있어서 가택신앙의 중심은 조상신을 모시는 유교적인 제사형태의 혈연신앙이 아니라 집지킴이의 여러 잡신들을 섬기는 일이 그 중심이었다. 지금은 이들 집지킴이 신들을 섬기는 신앙행위가 많이 쇠미하여졌지만 아직도 집안 곳곳에서 행하여지는 일상의 생활 속에는 성주, 조왕, 삼신 등을 의식하는 신앙적인 행위가 여러 가지 형태로 나타나고 있음을 자주 보게 된다.

그러면 집안의 요처에 깃들어 있는 이들 지킴이 신들에는 어떤 것들이 어떤 형태로 깃들어 있으며 그것들은 제각기 어떤 기능을 하면서 집안의 요처를 지켜오고 있는가를 살펴보기로 한다.

성주신

성주신은 집지킴이의 대표적인 신이다. 울안에 집지킴이의 신은 성주신을 비롯하여 10여 가지의 잡신들이 깃들어 있지만 그 가장 우두머리 신, 어른 신격이 성주신이며 성주신은 가옥의 신이지만 본채에 한 분만이 깃들어 있다. 그러면서 그 집에 살고 있는 대주(大主․戶主)와 가족들의 운수는 물론이요 집안의 흥망성쇠까지도 담당하고 있는 것으로 믿는다.

부안지방에서 성주신의 신앙은 그 뿌리가 깊고 신앙성이 강함을 보여주고 있다. 집을 새로 지었거나 이사하는 일을 “새 성주님을 모신다” 또는 “새 성주를 마련했다”고 말한다. 성주란 말은 집의 표상(表象)이며 대명사로 사용되고 있음이다. 뿐만 아니라 집을 새로 지어 새 성주를 모시는 경우 그 집의 대주는 3년 동안 초상집 등 궂은 곳에 가지 않는다. 새 성주님이 부정(不淨)을 타 면 안주하지 않는다고 여기는 것이다. 크고 작은 명절이나 조상의 제사를 지낼 때 성주상을 제상곁에 별도로 차려 바치고 있으며 설이나 추석 때 이웃 큰집으로 차례 모시러가는 작은집 주부가 자기집 성주님 굶길 수 없다며 성주. 조왕상을 차려 바치고 큰집에 가는 경우 등은 지금도 가끔씩 볼 수 있다.

성주신의 신격(神格)은 남신(男神)으로 집안의 대주, 즉 가구주(家口主)를 상징하며 그 가구주의 운수를 담당하고 있는 신이라고 하므로 성주신이 편안하여야 집안이 편안하고 흥성한다고 믿는다. 성주신의 신체(神體)는 지방에 따라서 조금씩 다른데 부안지방에서는 성주단지라 하여 옹기단지 안에 쌀이나 보리를 넣고 백지로 덮어 조상단지와 함께 대청이나 큰방의 웃목 한쪽 구석에 모신다. 곡식을 넣는 것으로 보아 풍농, 풍요를 가져다주는 기능의 신이기도 하다. 이 곡식은 가을이 되어 햇곡식이 추수되면 갈아주며 묵은 곡식으로는 떡을 하여 먹는다.

성주신이 원래 깃들어 있는 곳은 본채의 대들보라고 믿는다. 대들보는 집이 형성되게 하는 중심재목으로 대들보가 부러지면 집이 무너진다. 집을 지을 때 백지를 가로 세로 10㎝ 내외로 접어 그 안에 동전 한 잎을 넣고 실로 여러 번 감아 대들보를 올릴 때 상량(上樑)과의 사이에 끼워 넣는데 이것이 성주신의 구체적인 신체다. 그러기에 성주신을 상량신(上樑神)이라고도 말한다. 그러나 일상적으로 성주신이 좌정하고 있는 곳은 큰방의 윗목이라고 여긴다. 큰방 윗목은 집안에서 제일 거룩한 성지(聖地)요 성소(聖所)다. 그래서 이곳을 “성주머리”라 한다. 성주신이 깃들어있는 대들보의 바로 밑이 되기 때문이다. 뿐만 아니라 윗목은 조상신을 모시고 제사지내는 제장이며 아기를 점지하여 주는 삼신할미 또한 이곳에 좌정하고 있다고 믿는다. 그러기에 큰방 윗목에서는 항시 몸가짐을 조신하였다.

무당의 열두 마당 굿거리 중 성주신을 달래는 성주굿은 빠질 수 없는 첫 번째 순서다. 집안에 우환이 있어 고사를 지내거나 사업이 흥왕하라고 안택(安宅)의 굿을 하거나 가장 어른 신인 성주신부터 챙겨 달래고 대접하는 것은 당연한 순서다.

다음은 민요풍의 성주풀이로 고사 축원성의 노래다.

에라 만수. 에라 대신이야
세화연풍(歲和年豊)으로 설설이 내리소서
에라 만수. 에라 대신이로구나
성주 근본이 어디메냐
경상도 안동땅 제비원이 근본이로다
제비원에 가 솔씨를 받아
앞 남산에다 던졌더니
그 솔이 점점 자라나서
밤으로는 이슬을 맞고
낮으로는 볕내를 쬐야
소부동이 되었고나 대부동이 되었고나
낙낙장송(落落長松)이 쩍 벌어졌더니
이 댁 성주가 되어갖고
명복 수복이 쩍 벌어졌구나
에라 만수. 에라 대신이야
세화연풍으로 설설이 내리소서.

이 성주풀이 내용을 보면 우선 성주의(집) 근본이 잘 자란 소나무로 지은 집이며 거기 깃들어 있는 성주신은 그 영력으로 해마다 평화롭고 풍년이 들게(세화연풍)하여 주며 거기 사는 사람들은 건강하고 복되게 하여 달라는 축원의 고사로 되어 있다.


/김형주


김형주
는 1931년 부안에서 태어났으며 호는 소재(素齋)이다. 전북대학교를 나와 부안여중, 부안여고에서 교사, 교감, 교장을 역임했다. 국사편찬위원회 사료조사위원, 부안향토문화연구회와 향토문화대학원장을 맡아 운영하고 있다. 저서로는 ‘향토문화와 민속’, ‘민초들의 지킴이 신앙’, ‘부안의 땅이름 연구’, ‘부풍율회 50년사’, ‘김형주의 부안이야기’, ‘부안지방 구전민요-민초들의 옛노래’ 등이 있고, 논문으로는 ‘전북지역 당산의 지역적 특성’, ‘부안읍 성안 솟대당산의 다중구조성과 제의놀이’, ‘이매창의 생애와 문학’, ‘부안지역 당산제의 현황과 제의놀이의 특성’ 외 다수가 있다. 그밖에 전북의 ‘전설지’, ‘문화재지’, 변산의 얼‘, ’부안군지‘, ’부안문화유산 자료집‘ 등을 집필했다.

(글쓴날 : 2006·03·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