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서깊은 싸움터 유정자 고개

 

▲정유재란호벌치전적지(전라북도 문화재 제 30호)ⓒ부안21


부안 역사문화 기행 호벌치(胡伐峙) 전적지

상서면 감교리 개암사 입구에서 남쪽으로 도로를 따라 약 4km쯤 가면 해발 50여미터의 나즈막한 고개가 나온다. 유정자 고개라고 부르는 이 고개는 높이로는 대단하지 않지만 지형적으로 매우 중요한 구실을 한 곳이기 때문에 예로부터 유명하다. 그 까닭은 이 고개의 남북 양 밑에까지 바닷물이 들어와 이곳만 점령하면 변산은 외부와 완전히 연락이 끊기고 고립될 수밖에 없기 때문이다.

변한(卞韓)과 마한(馬韓)이 이곳을 방어선으로 설정하여 싸움을 벌였으며, 임진왜란 때에도 왜병과 우리 의병 사이에 큰 싸움이 벌어졌던 곳이다. 현대에 들어서는 6·25 사변 때 이 고개를 서로 장악하기 위한 국군과 빨치산과의 치열한 전투가 벌어졌던 곳이다.

상서에서 줄포 방면으로 고개를 넘기 직전 우측에 호벌치 전적비가 있다. 호벌치란 이름은 당나라 소정방이 이곳에 통수부(統帥府)를 설치한 사실에서 비롯되었다고 전한다.

 

▲야수실기(野叟實記, 국립중앙박물관 소장)
채홍국(蔡弘國, 1534~1597, 호는 野叟)의 실기, 4권 2책의 목활자본이다.

정유재란과 호벌치 싸움

1592년 4월 임진왜란이 일어났을 때 왜군은 부산으로 상륙하여 문경 새재를 거쳐 곧바로 한양으로 진격하였으나, 이순신 장군이 제해권을 장악하고 있었던 전라도 지방은 주된 전쟁에서 벗어나 별로 큰 피해는 없었다.

그러나 호남 지방에서도 왜적을 물리치기 위한 의병이 일어섰다. 그 대표적인 인물이 광주에서 일어난 제봉 고경명(霽峰 高敬命)과 건재 김천일(健齋 金千鎰)이다.

이 때에 흥덕 사람인 채상은 재종형 채홍국(野 蔡弘國) 등과 함께 근방에 격문을 돌려서 의병을 모집하였다. 이에 부안, 흥덕, 고부, 고창 등지의 뜻있는 충의지사들이 모여들었다. 1592년 9월 16일에 흥덕의 남당에서 92명의 지사들이 모여 삽혈동맹( 血同盟)을 맺고 궐기할 것을 다짐하였다.

▲남당(고창군 흥덕면), 1592년 9월 16일 부안, 흥덕, 고부, 고창 등지의 뜻있는 충의지사들이 이곳에 모여 삽혈동맹( 血同盟)을 맺고 궐기할 것을 다짐하였다.ⓒ부안21

1597년(선조30) 1월에 풍신수길의 재침 명령이 내려지자 국내에 잔류해 있던 왜적들이 발악하기 시작했다. 이에 채홍국, 고덕봉, 김영년 등은 다시 이미 결성했던 92명의 동지에 다른 동지 33명을 추가하여 1월 27일 ‘정유갱창의동맹(丁酉更倡義同盟)을 맺고 호벌치에서 적과 맞서게 되었다.

당시의 순절일기에는 3월 23일에 흥덕에 적이 침입하여 살인과 약탈을 자행한다는 소식을 듣고 바로 군사를 끌고 나가 배풍령(排風嶺)에서 싸워 채홍조(蔡弘祖)가 전사하였으며, 24일에는 이작과 승만세와 김영이 전사하였다고 기록되어 있다. 4월 4일에는 부안으로 적이 쳐들어왔다는 말을 듣고 우반동으로 군사를 옮겼다. 4월 14일에 징을 치고 쳐들어온 적과 치열한 전투가 벌어졌는데 아군이 수세에 몰리자 적의 부장(副將) 아이대(阿伊大)가 김영년을 잡아다가 죽이더니 뒤에 한 놈이 다시 와서 코를 베어가자 조익령과 최언심 등이 서로 구하려 하였으나 허사였다. 이것을 본 채홍국과 채우령은 분함을 참지 못하며 적진으로 뛰어들어 많은 적을 무찔러 죽였다.

한편 김영년의 아들 헌(櫶)은 자기 아버지의 원수를 갚기 위해 단기로 적진에 뛰어들어 두 적을 잡아서 칼로 배를 갈라 그 간을 씹었다.

이어 4월 16일에는 채우령과 이시화가 전사하였으며, 4월 17일에는 이익성이, 4월 18일에는 임추가, 4월 19일에는 오몽서와 김귀복이 전사하였다. 4월 20일에는 조익령이 적의 급습을 받으므로 채홍국이 이를 구하려다 적의 칼에 맞아서 위급하게 되었다. 그의 두 아들 명달과 처달이 부친을 구하려 하였으나 이미 늦어 절명하고 말았다. 두 아들도 부친의 원수를 갚으러 적진 중에 뛰어들어 싸우다가 마침내 전사를 하고 말았다.

호벌치 싸움은 부안 의병들의 패배로 끝났으나 조총이란 근대식 무기로 무장한 왜군을 상대로 1개월 간을 끌며 밀고 밀리는 혈전을 치렀다는 것은 이 지방 사람들의 기개를 한껏 드높이는 일이었다. 이 뜻을 기리기 위해 1964년에 유정자 고개에 ‘정유왜란호벌치전적비’를 세웠고, 이후 부안-흥덕간 도로포장 공사로 현 위치에 호상과 석등을 추가하여 옮기게 되었다. 호벌치 전적비는 지방문화재 30호로 지정되었다.

청등싸움과 타루비

1997년 7월 원균이 이끄는 조선 수군을 칠천량에서 격파한 왜적은 서쪽으로 진출하여 8월에서 남원성을 함락시켰다. 이들은 기세가 높아져 전라도 일대를 돌며 온갖 만행을 자행하고 다녔다. 이를 그대로 보아 넘길 수 없어 노년에 접어든 선비의 몸으로 분연히 일어선 분이 도곡 이유(挑谷 李瑜:1545~1597)이다.

그는 지금의 상서면 통정리 도화동에서 살았는데, 그의 양부(養父)인 이억영이 을사사화에 충격을 받아 은거생활을 해오던 곳이었다. 이유 또한 벼슬길에는 올랐으나 어지러운 조정의 부름을 사양하고 학문에만 전념하고 있었다.

임진왜란이 일어나자 의병장 조헌, 김건재 등에게 군량미와 물자를 보내 격려와 지원을 아끼지 않았던 이유 선생은 정유년 9월에 마침내 의병을 일으켰다. 그는 인근에 격문을 보내 사람을 모으고 그의 문하생 수십명을 중심으로 훈련을 시켜 왜적의 토벌에 나선 것이다. 감교리 청등(淸燈)벌로 진격한 이유의 의병부대는 처음 3일간은 큰 성과를 얻어 많은 적을 살상하고 나머지 적을 30리 밖으로 쫓아내는데 성공하였다. 지금도 이 싸움터를 퇴왜지(退倭地), 또는 토왜지(討倭地)라고 부른다.

그러나 적이 전열을 정비하고 야음을 틈타 다시 쳐들어오니 아군은 화살이 떨어지고 힘이 다한 가운데 의병장 이유는 9월 19일에 적의 총탄에 맞아 순절하고 말았다. 그의 나이는 53세였다. 이를 본 이유의 부인 부안김씨는 칼과 대창을 가지고 적진으로 뛰어들어가 원수를 갚으려 하였으나 그녀 역시 적에게 참살당하고 말았다. 적은 여인이 이유의 부인인 것을 알고는 집으로 쳐들어와 선생의 가산을 약탈하고 불지르는 만행을 저질렀다.

그의 유가족과 문하생들은 찢어진 옷자락과 버려진 신발만을 주워다 초혼장(招魂葬)을 지내고, 전란이 끝난 다음 한 날 한 시에 순절하신 내외분의 혼을 위로하고 그 충절을 추모하기 위해 타루비(墮淚碑)를 세웠다.

 

상서면 청등망르에 서 있는 타루비, 타루비의 유래는 당나라의 시인 이태백의 시중 ‘淚亦不能爲之墮 心亦不能爲之哀’라는 구절에서 따온 말로 그 애절한 심정을 의미한다.ⓒ부안21

호벌치에 안치된 코무덤

정유재란 때 전라도에 쳐들어온 왜군 병사들은 그들의 전과를 보고하기 위해 조선 군사의 코를 베어 본국으로 보냈다. 이들이 코를 베는 데는 민간인마저 그 대상이 되는 만행을 저질렀다. 지금도 전라도 지방에서는 애기들이 위험한 물건을 만지지 못하도록 겁을 주기 위해 ‘애비’라고 말하는데 이 말의 어원은 ‘이비(耳鼻)’로서 이 때에 생긴 말이라고 한다.

왜군이 베어간 코는 일본 오카야마현 비젠시에 코무덤으로 만들어져 있었는데, 1984년 당시 일본에 유학중이던 부산외대 일어과 김문길 교수에 의해 국내에 알려지게 되었다.

이 코무덤은 1992년 11월 24일 현해탄을 건너와 부산 동래 자비사에 임시 봉안돼 오다 1년 후 이곳 호벌치에 영면하게 되었다. 임진왜란 비총 환국안장 추모사업위원회(위원장 박삼중 당시 자비사 주지)는 1993년 11월 26일 상서면 감교리 호벌치에서 환국안장추모대회를 열고 코무덤 봉안식을 거행했다.

이날 대회는 각계에서 2천여명의 추모객이 참석한 가운데 기독교 천주교 유교 불교의식으로 진행되었으며, 일본 비젠시의 관계자와 코무덤을 만들고 해마다 두 차례씩 제사를 지내온 로고스게(임진왜란 당시 일본병사) 후손 등 일본인 1백10여명도 참석하여 과거 선조들의 잘못을 사죄하기도 했다.

임진왜란과 정유재란 동안 왜군은 2만여명의 귀와 코를 베어갔는데, 이 날 봉안된 코무덤은 그 일부로 교토의 귀무덤과 함께 우리 민족의 수난사를 상징하는 것이다. 귀무덤은 지난 90년 경남 사천에 봉안됐다.

추모사업위원회측은 코무덤 환국 직후 전남 여수 충민사에 안장할 계획이었으나 이충무공 승전 기념지에 패전한 영령을 모실 수 없다는 여수 시민들의 의견에 따라 정유재란 때 왜적에 맞서 싸운 격전지로 알려진 이곳 호벌치를 안장 장소로 택했다고 밝혔다.

4백년만에 흰도자기에 담겨 한 줌 흙이 되어 돌아온 조상들의 영령을 안장한 것을 계기로 이곳 호벌치는 수난의 민족사를 가르치는 교육의 장으로 활용되고 있다.

호벌치 전적비문(胡伐峙 戰跡碑文)

아! 부안 호벌치는 정유재란이 일어났을 때 창의(倡義)한 제공(諸公)의 전적지이다.
그로 삼백육십구년이 지나 을사(乙巳 1965년)에 이르러 관민(官民)이 뜻을 모아 비(碑)를 세움은 더욱 풍절(風節)을 권면하고 충혼을 위안코자 함이다.
아! 섬오랑캐의 난(亂)을 어찌 말로 다 할 수 있으랴. 하늘이 우리 나라를 열고 성신(聖神)이 이어 이루어 나라를 세운 지 2백년, 인과 의로 갑옷과 투구를 대신하고 교육을 활과 포로 여겨 문치(文治)가 무(武)에 앞서 무와 겨룰 수 없었다.
저 천성이 짐승과 같은 섬오랑캐들이 몇 년을 두고 틈을 엿보다가 마침내 선조(宣祖) 임진(壬辰 1592)에 이르러 명(明)을 치겠다는 것을 거짓으로 내세워 대군으로 북상하여 우리의 강토를 짓밟아 회진(灰盡)시키니 종사(宗社)는 먹히우고 백성들은 수천리를 환동(環東)하니 참화를 입지 않은 곳이 없었다. 정유년에 이르러 쳐들어온 적은 더욱 방자해져 황해로부터 쳐들어와 부안을 근거지로 하여 호남과 영남을 칠 기회를 엿보니 국가의 존망이 여기에 달리게 되었다. 이 때에 의사(義士) 채홍국(蔡弘國)외 92인의 선비에 35인이 추맹(追盟)하여 흥덕(高敞 興德)에서 왔으며 김홍원(金弘遠)은 변산에서 이유(李瑜)는 도화동(桃花洞)에서 유희방(柳希芳)은 유정자에서 충성의 비분을 참지 못해 궐기하여 의려(義旅)를 일으켰지만 그 수는 천(千)이 못되어 숫적으로 당하기 어려웠고 병기도 적과 같지 못하나 수십회에 걸친 싸움에서 혹은 크게 이기기도 하고 혹은 패하기도 하니 그 공이 또한 분명하게 드러남에 족했으며 천의 군사로 수만의 군사와 싸워 왜적이 서쪽으로 향함을 막아 호남과 영남을 지켰음은 누구의 힘이었겠는가.
아! 신라와 고려를 돌아볼 때 수나라, 당나라의 침입도 많았지만 왜의 피해는 막심했다. 왜가 우리의 강토를 침범함이 여러 차례인데 정유와 같은 비참함은 없었다. 제공들이 나와 죽음을 돌아보지 않고 오직 나라의 난을 만나 부자(父子) 조손(祖孫) 형제(兄弟) 부처(夫妻)가 맨주먹과 칼만으로 머리를 적에게 돌려 싸우니 그 생사와 승패는 같지 않았으나 나라를 위한 충성은 한 가지였으며 전후(前後) 전적의 크고 작음은 있었지만 임금에 충성을 하기 위함은 같았다. 그 공과 지위는 같은 것으로 만고에 걸쳐 없어지지 않은 것도 또한 같은 것인데 이제껏 전적을 널리 알릴 만한 몇 자의 비가 없이 공산유곡(空山幽谷) 거친 들에 초목만 무심히 우거져 있을 뿐이며 시냇물 소리만이 처량하고 그 정충(精忠)의 원만을 호소하듯이 소리쳐 운 것 같았는데 하늘은 무심치 않아 다행히 우리 나라가 광복이 되어 관민이 일치하여 우뚝한 큰 비를 세워 길가는 사람으로 하여금 손을 얹고 바라보며 절하게 하니 어찌 나라에 충성을 장려하려 하는 것이 아니겠느냐.
이것은 또한 백세에 아름다운 풍속을 기르는 것이기도 하다. 그 정령은 위에서 내려와 이것을 거울 삼아 조국을 길이길이 지켜줄 것이다.


/허정균(2006·01·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