살아있는 화석 ‘도롱뇽’

 

   


변산 가마소계곡에서 만난 ‘도롱뇽’

지난 3월 20일 아침 변산 가마소계곡에서 만난 도롱뇽이다. 가마소계곡은 경치도 빼어나지만, 세계에서 부안 백천에서만 사는 부안종개가 서식하고 있고, 산개구리, 도롱뇽 등도 변산의 다른 계곡에 비해 개체수가 훨씬 많다. 그런가하면 변산바람꽃, 천연기념물인 미선나무가 자생하고 있는 생태계의 보고이다.

도롱뇽은 파충류인 도마뱀과 비슷하게 생겼지만 도롱뇽목 도롱뇽과에 속하는 양서류다. 개구리, 두꺼비, 맹꽁이와 같이 물과 땅을 오가며 살기 때문에 양서류에 속하는 것이다. 우리나라엔 도롱뇽과 꼬리치레도롱뇽, 제주도롱뇽 등 3종이 서식하고 있다. 이들 중 꼬리치레도롱뇽은 수온이 차고 용존산소량이 풍부한 산간 계류에서 서식하며 알에서 깨어난 뒤에도 1년 이상 계류에서 유생기를 보내는 반면, 도롱뇽은 경작지 주변의 계류(산골짜기 시냇물)에 서식하며 꼬리치레도롱뇽보다는 비교적 수질오염에 강한 편이다.

도로뇽의 몸 길이는 15cm 정도, 3월경에 20∼60개의 알이 든 투명한 ‘순대’ 모양의 덩어리를 물웅덩이에 풀어 놓는다. 알에서 깬 유생은 물을 품고 크게 부풀어 있는 큰 덩어리를 뚫고 나와 아가미 호홉을 시작한다. 눈 밑에는 ‘균형기’라는 것이 있어 이것으로 균형을 잡으며 헤엄을 친다. 이때의 모습은 올챙이와 흡사하다. 자라면서 손과 발이 생기며, 아가미는 없어지고, 허파가 생기면 뭍으로 올라와 살게 되는데 개구리와는 달리 꼬리는 없어지지 않는다.

 

ⓒ부안21

 

▲ 사진출처/kids.hankooki.com

옛날 사람들은 농사짓는데 도롱뇽 알을 통해 그 해의 기상을 예측했다고 한다. 그 해 비가 많이 올 것 같으면, 알을 돌이나 나뭇가지에 튼튼하게 붙여 낳고, 가뭄이 들 것 같으면 물 속에 그냥 낳는 습성이 있다고 한다. 그래서 옛날 사람들은 도롱뇽 알이 바위나 나무에 붙어 있으면, 큰 장마를 대비해서 논둑을 튼튼히 하고, 물속에 알이 있으면, 가뭄에 대비해서 물막이 공사를 했다고 한다.
이러한 도롱뇽의 생존년원은 2억 년쯤 전으로 거슬러 올라간다. 위의 공룡화석 사진은 영국의 ‘네이쳐’지 2003년 3월 27일자에 소개된 자료로 몽골에서 발견한 1억 6500만 년 전 초기 도롱뇽(salamanders) 화석이다. 생김이 지금의 도롱뇽과 전혀 다르지 않는데 그렇다면 도롱뇽은 적어도 1억 6500만 년 동안 조금도 진화하지 않은, 일테면 살아있는 화석인 셈이다.

 

재미있는 도롱뇽 이야기

양서류도 간단한 수학을 할 줄 안다는 게 밝혀졌다.  미국 루이지애나대 클라우디아 울러 교수는 양서류인 도롱뇽이 셈을 할 줄 안다고 최근 학술잡지인 ‘동물인지’ 최근호에 발표했다. 실험 결과 도롱뇽은 먹이인 파리가 두 개 들어간 통과 세 개 들어간 통을 주면 예외 없이 세 개가 있는 통을 골랐다. 영장류도 훈련 없이 어느 것이 큰 수인지 고를 수 있다. 단 수가 3 이하여야 한다. 아기는 쿠키로, 원숭이는 사과 조각으로 실험을 해 보면 먹을 게 더 많은 그릇을 고른다. 울러 교수는 “실험 결과 양서류도 아기나 원숭이처럼 수가 3이 넘을 경우 헷갈리기 시작했다”고 말했다.

양서류가 수학을 한다는 사실은 생물의 수학 능력이 수천만년 전부터 진화했다는 것을 말해 준다. 하지만 영장류의 수학 능력을 테스트했던 미 하버드대 마크 하우저 교수는 양서류와 영장류는 계산 방식이 조금 다를 수도 있다고 본다. 원숭이는 수로 계산하지만 도롱뇽은 파리의 크기나 이들이 내는 소리로 셈을 할지도 모른다는 것이다.

/2003-05-07 생명과학 / 동아일보 / 신동호 동아사이언스기자

엠파스 백과사전에서 도롱뇽 찾기

도롱뇽목 도롱뇽과 양서류.

몸길이는 수컷 8.5 ∼11.4㎝, 암컷 7.4∼9.7㎝. 갈색 바탕에 암갈색의 둥근 얼룩무늬가 띄엄띄엄 있는 것이 많으며, 특히 눈 뒷부분에서부터 몸통의 등쪽은 무늬가 뚜렷하다. 머리 등쪽의 앞부분과 꼬리 뒷부분에서는 흑색의 작은 점무늬가 촘촘하게 있다. 몸의 옆쪽에서 배쪽으로 가면서 색깔이 점점 엷어지고 점무늬의 수도 적어진다. 특히 이 부분에는 금속 광택이 나는 흰색 과립이 퍼져 있으며, 앞·뒷다리의 등쪽과 머리 옆쪽에도 있다. 다리의 등쪽에는 몸의 등쪽과 같은 흑색 무늬가 서로 연결되어 있다. 배쪽은 등쪽보다 색이 약간 엷고 갈색 점무늬가 퍼지거나 연결되며 독립된 점무늬가 등쪽의 점무늬보다 작다. 배쪽에서도 흰색의 과립을 볼 수 있다. 머리는 편평하며 등쪽에서 볼 때 타원형을 이룬다. 입끝은 둥글고, 콧구멍은 끝쪽에 있다. 눈은 돌출되었으며 구열(口裂)은 눈의 뒷가장자리보다 약간 뒷부분까지 이른다. 몸통길이는 머리의 3배 정도이다. 피부는 매끈하며 약간 편평하다. 목부분의 등쪽 중앙에서부터 허리부분에까지 연결이 되는 얕은 등홈[背溝]이 있다. 늑조(肋條)는 13개 있고, 배쪽에는 뚜렷한 가로홈이 10개 있다. 네 다리는 잘 발달하며, 발가락이 길다. 꼬리는 몸통보다 약간 길이가 짧고 세로로 길다. 수컷은 항문 앞끝 중앙에 작은 돌기가 있고, 항문 주위는 두툼하게 부풀며 암컷에 비하여 뒷다리가 약간 비대하다. 알은 3중의 투명한 교질(膠質)로 싸이고, 알주머니의 장축(長軸) 방향으로 대개 2줄로 배열된다. 알은 원형으로 지름은 2.0∼2.5㎜이고 동물극(動物極)은 흑갈색, 식물극(植物極)은 이보다 약간 엷다. 산란은 4월 상순에서 5월 하순, 남부지방에서는 3월 중순에서 4월 하순에 논이나 고인 물속 등에 있는 물풀의 뿌리 또는 나무껍질 등에 2개의 알덩이를 한쪽만 부착시켜 산란한다. 대개 산란한 뒤 3∼4주일 이내에 부화되며 유생으로 자라다가 남부지방에서는 6월 하순경, 북부지방에서는 7월 중순에서 8월 하순경에 변태되며 육상생활로 옮겨진다. 성체는 지렁이나 곤충류를 먹이로 하며, 한국 특산종으로서 한국 전지역과 제주도에까지 분포한다./엠파스 백과사전


/허철희 
(글쓴날 : 2005·03·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