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루터에 묻혀있는 민초들의 이야기

 

▲未聞於金堤西津, 聞於扶安東津

부안읍내를 중심으로 서울이나 전주방면을 가려면 우선 부안읍성의 동문인 청원문루(淸遠門樓)를 나서야 한다. 동문인 청원루 성문거리에는 돌솟대의 오리당산과 상원주장군(上元周將軍)과 하원당장군(下元唐將軍) 한쌍의 수문장격 부부 장승이 조성되어 있어 성안사람들의 안위를 수호하고 있으며 동문을 나서 덕다리 방죽을 지나면 장승백이다. 장승이 박혀 있는 곳이란 뜻의 지명으로 지금은 장승의 흔적은 없지만 나그네의 이정(里程) 안내와 여정을 수호하는 노신격(路神格) 장승이었다. 지금의 해성병원 앞 언덕배기다.

장승백이를 지나 고마제 방죽을 좌측으로 하고 동진장터를 지나면 청운동의 동진원(東津院)에 이른다. 원(院)이란 고려시대부터 있었던 제도로서 통행의 요로(要路)나 인가가 드문 곳에 나라에서 원을 두어 공무로 출장하는 관리들이나 나그네들에게 숙식의 편의를 제공했던 국가 경영의 숙박소였다. 우리 부안에는 행안면 역리 근처에 부흥역원(扶興驛院)이 있었고 줄포근처에 수세원(手洗院)이 있었으며 진서면의 금설평(金設坪.)에 금설원(金設院)이 있었다 동진원을 지나 장등리의 우측 강가에 다다르면 이곳이 곧 동진나루터다.

동진나루는 당시 상당히 번창했던 나루로 선개(船價:나루를 이용하는 삯)는 물론이요 화물의 도강료 등의 수입도 꽤 짭잘했을 것으로 짐작이 된다. 동진나루의 관할권 다툼에 관련하여 다음과 같은 이야기가 전해오고 있다.

▲’부풍승람’아라는 부안향토지에 ‘동진원’에 관한 기록이 보인다.ⓒ부안21
▲동진원은 동진면 동진강가 청운마을에 있었다.ⓒ부안21

동진나루의 수입이 욕심난 김제의 원님이 나루의 관할권을 주장하는 소송을 전라감영에 냈었다는 것인데. 솟장을 접수한 전라감사는 판결을 어떻게 해야 할지 매우 난처하였다는 것이다. 그러자 부안의 원님이 말하기를 “내 일찍이 김제에 서진(西津)이 있다는 말은 듣지 못했으나 부안에 동진(東津)이라는 지명이 있음은 일찍부터 들어 왔었습니다.” <未聞於金堤西津, 聞於扶安東津>하고 말하니 감사가 무릎을 탁 치며 “옳거니, 나 또한 김제 땅의 서쪽에 서진이 있다는 말은 들어보지 못하였소”하고 동진은 부안의 동쪽에 있는 나루란 뜻의 지명인 것으로 보아서도 동진나루는 부안현의 나루인 것이 확실하다고 판결 했다는 이야기다. 이는 지명이 얼마나 소중한 역사를 간직하고 있는가를 말하여 주는 설화이기도 하다.

나루터에는 가지각색의 사람들이 잠깐씩 모였다가 흩어지는 곳이어서 어느 나루터나 그 정서는 거칠고 인심은 험하며 상스럽기까지 하였다. 동진나루터 또한 그와 같은 거친 정서에서 크게 벗어나지 못하였던 것 같으며 그 중에서도 나루쟁이는 유난히 버릇이 없고 거칠며 욕 잘하기로 유명한 불상놈이었다고 한다. 지금도 부안지방 속담에 매우 상스럽고 버릇없는 사람을 일러 ‘동진강 나루쟁이 보다도 못한 놈이다’ 또는 “후레스럽기가 동진나루쟁이 뺨치겠다” 라는 말이 남아 있다.

나루쟁이란 나룻배로 사람들을 건네주는 뱃사공이다. 통행인들로부터 선개를 받아 일정액을 관할 고을에 바치고 살아가는 천민인데 조수의 간만에 따라서 나룻배에 오르고 내리기까지 갯벌을 지나게 되면 댓님을 풀고 버선을 벗어 바지의 가랑이를 추겨 올리고 질꺽벌꺽한 갯벌을 맨발로 건너서 승선하여야하는 번거로움이 있어 돈 있고 권세 있는 양반들은 업혀서 승선하고 월천료를 별도로 지불하게 된다. 특히 양반집 부녀자들이 월천을 많이 하게 되는데. 이때 아무리 양반집 규방의 처녀나 새색씨라 할지라도 무지막지한 천하의 불상놈인 나루쟁이의 등에 업혀 갯벌을 건너야 하는 난처한 경우가 많았는데. 이럴 경우 못된 나루쟁이는 여자의 엉덩이 밑을 받친 손끝으로 못된 짓도 하고 공연히 출석거리기도 하며 재미(?)도 톡톡이 보는 즐거움도 있었다고 하니 이 또한 나루터에만 있는 외설스러운 은밀한 성희롱의 문화였다고 할 것이다.

나루터에는 국밥집을 겸한 주막이 있고 담배장수. 떡장수, 엿장수도 있으며 좌판을 벌린 술장수도 있었고 매음도 하는 들병이 창녀들도 있었다 하며 일제가 망한 1945년경까지 부안의 물산유통의 일을 했던 조선통운(朝鮮通運:일명 마루보시)의 창고도 나루터 갯가에 있었다고 하니 동진나루가 부안교통의 요처였음을 가히 짐작할 수 있겠다.

부안의 토반인 부안김씨에 대한 별칭의 유래 일화도 동진나루터에서 생겨났다는 전설이 있다. 부안지방에 부안김씨를 일러 “멀쩡한 부안김가다” 라는 말이 속담처럼 전해져 오고 있는데 어느 때였던가 허름하게 차려 입은 꾀죄죄한 선비차림 하나가 나룻배에서 내려 선개도 내지 않고 당당하게 활개를 휘저으며 휘적휘적 가버리더라는 것이었다. 화가 잔뜩 난 나루쟁이가 뒤쫓아 가 “여보시오, 당신이 무엇이길래 선개도 안내고 도망치는 게요?” 하고 눈을 부라리며 따지니까 그 선비 왈. “야 이놈아. 나도 멀쩡한 부안김가다 이것이 안 보이느냐? 이놈아!” 하면서 두루마기 자락을 휙 제치며 허리춤에 차고 있던 호패(戶牌:지금의 주민등록증)를 보이니 나루쟁이가 아뭇소리도 못하고 머슥하여 돌아섰다는 것이다. 아마 그 무렵 부안김씨들이 이 지방의 호족(豪族)으로 세도가 커서 나룻삯 정도는 내지 않고 다녀도 상놈주제인 나루쟁이는 꼼짝도 못한 모양이다. 이후부터 부안지방에 부안김씨를 일러 “멀쩡한 부안김가” 라는 말이 유행하였다고 하니 이 또한 동진나룻터에서 생겨난 양반의 세도를 풍자한 이야기 중의 하나가 아닌가 한다.

동진강구의 옛 나루터에는 지금 넓이10m, 길이445m의 동진대교가 놓여진지도 벌써 20여년이 지났다. 대교의 밑으로는 지난날 민초들의 소박한 나루터문화의 애환이 흐린 강물에 섞이어 오늘도 말없이 바다로 흐르고 다리의 위로는 명이오욕(名利汚辱)에 찌든 형형색색의 군상들을 태운 수많은 자동차들이 어디로 달려가는 것인지 쫓기듯 쫓듯 달려만 가고 있다.

/김형주


김형주
는 1931년 부안에서 태어났으며 호는 소재(素齋)이다. 전북대학교를 나와 부안여중, 부안여고에서 교사, 교감, 교장을 역임했다. 국사편찬위원회 사료조사위원, 부안향토문화연구회와 향토문화대학원장을 맡아 운영하고 있다. 저서로는 ‘향토문화와 민속’, ‘민초들의 지킴이 신앙’, ‘부안의 땅이름 연구’, ‘부풍율회 50년사’, ‘김형주의 부안이야기’, ‘부안지방 구전민요-민초들의 옛노래’ 등이 있고, 논문으로는 ‘전북지역 당산의 지역적 특성’, ‘부안읍 성안 솟대당산의 다중구조성과 제의놀이’, ‘이매창의 생애와 문학’, ‘부안지역 당산제의 현황과 제의놀이의 특성’ 외 다수가 있다. 그밖에 전북의 ‘전설지’, ‘문화재지’, 변산의 얼‘, ’부안군지‘, ’부안문화유산 자료집‘ 등을 집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