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개 중의 조개 ‘백합’
“노령산맥의 한 줄기가 북쪽으로 부안에 이르러, 서해 가운데로 쑥 들어간다. 서쪽과 남쪽, 북쪽은 모두 큰 바다다. 산 안에는 많은 봉우리와 깎아지른 듯한 산마루, 평평한 땅이나 비스듬한 벼랑을 막론하고 모두 큰 소나무가 하늘을 찌를 듯이 솟아나서 햇빛을 가리고 있다. 골짜기 바깥은 모두 소금 굽고 고기 잡는 사람의 집들이지만, 산중에는 좋고 기름진 밭들이 많다. 주민들이 산에 올라 나무를 하고, 산에서 내려오면 고기잡이와 소금 굽는 것을 업으로 하여, 땔나무와 조개 따위는 돈을 주고 사지 않아도 된다.…”
위의 글은 이중환의 「택리지」에 나오는 대목이다.
내가 태어나서 자란 곳은 이중환이 얘기했듯이 ‘땔나무와 조개 따위는 돈을 주고 사지 않아도 된다’는 부안의 변산 바닷가 마을이다. 지금도 부안의 바닷가 사람들은 왠만한 갯것 정도는 돈 주고 사먹지 않고 갯벌에서 나는 이것저것들로 식탁을 꾸린다. 보릿고개를 넘던 시절 얘기다. 워낙 궁색한 살림이라 외지에서 손님이라도 온다치면 어린마음에도 걱정이 된다. 이럴 때면 할머니는 호미와 대바구니를 챙겨 들고 갯가로 나가신다. 그런 할머니는 빈바구니로 돌아오시는 적이 없다. 조개, 굴, 고둥 등 이것저것들로 바구니는 채워져 있다. 이런 정도는 부안의 어느 바닷가에나 지천으로 널려 있어 누구라도 손쉽게 바구니를 채워 올 수 있는 것이다. 손님들은 바구니 속의 이것저것들을 살펴보며 신기해 하신다. 그리고 변산에만 오면 밥맛이 좋다며 만족해 하신다. 조미료가 없던 시절에 갖가지 어패류를 넣고 요리를 하니 맛이 날 수 밖에…,
이렇게 갯살림이 넉넉한 부안은 3면이 바다로 둘러싸여 반도(변산반도)를 이루고 있다. 남쪽의 줄포에서 북쪽의 동진면까지 해안선 길이가 무려 99km나 된다. 이 해안선을 따라 곳곳에 갯벌이 잘 발달되어 있는데, 줄포, 곰소, 모항, 두포, 궁항, 마포, 대항리, 해창, 장신포, 돈지, 계화도 등을 꼽을 수 있다. 이렇게 드넓게 펼처져 있는 갯벌을 가지고 있는 부안사람들은 정말 축복받은 사람들이다. 갯벌생물은 누가 씨 뿌리고 가꾸지 않아도 그들이 조화를 이루고 살아가면서 인간을 포함한 뭇생명들을 부양한다. 무학이신 우리 어머니 산술로도 밭농사 열 배의 수확을 거두는 생명창고와도 같은 검은 땅이다. 우리의 먼 조상들은 천혜의 땅 부안에 정착한 이래 이러한 갯벌을 터전삼아 살아왔다. 그들은 하루에 두 차례씩 어김없이 바닷물이 들고나는 갯가에 나가 조개를 줍고, 대나무로 살을 엮어 밀려드는 고기떼를 포획하였으며, 질펀한 갯땅 한 자락을 막아 소금을 구우며 살아왔다.
이런 갯땅의 산물 중에서 단연 돋보이는 것이 있다. 바로 백합이다. 부안사람들은 조개류 중에서는 전복 다음으로는 백합을 꼽는다. 일테면 조개의 귀족, 조개 중의 조개인 셈이다. 조선시대에는 왕실에 진상되기도 했다고 한다. 백합은 우리나라 서해와 중국에서 나는데, 그 중에서도 부안의 계화도나 김제의 심포에서 나는 백합이 질이 좋기로 유명하다. 뿐만아니라 생산량도 우리나라 전체 양의 약 80%를 차지한다고 한다. 백합은 육상기원 퇴적물이 유입되는 하구갯벌이 발달된 고운 모래펄에서 잘 자라는데, 이 지역은 동진강과 만경강이 유입되고 있고, 조수간만의 차가 커서 갯벌이 햇볕을 많이 받기 때문에 건강한 하구갯벌이 잘 발달되어 있기 때문이다.
계화도는 원래 섬이었으나 1960년대에 경제개발 정책의 하나로 간척사업을 벌여 지금은 육지와 연결되어 있다. 옛날에 계화도 사람들은 한 물 때에는 갯벌에 나가 백합을 잡고, 다음 물때에는 이것을 이고 지고 부안읍내까지 걸어 나와서 보리쌀 됫박과 바꿔가지고 또 그 다음 물때를 기다려 계화도로 돌아가야만 했다고 한다. 백합 한 짐(15kg 정도)을 겨우 보리쌀 두어 됫박과 바꾸기 위해 하루 온종일을 노동한 셈이다. 지금의 시세로 환산하면 백합 1kg이 8,000원에서 12,000원 정도 하니까 백합 15kg정도면 쌀 한 가마 정도의 가치이다. 찡하고 안타깝기 그지없는 옛날이야기이다. 그래도 계화도나 계화도 인근 돈지사람들은 검은 땅 갯벌을 터전삼아 백합 잡고, 꼬막 잡아 자식들 공부시키고, 혼사도 시키며 질척이는 삶을 이어왔다.
백합 한 짐을 보리쌀 두어 됫박과 바꿔 먹는 사람들이 그러한 사정을 알겠는가마는 “백합은 볿고 댕기면서 먹는 것이여…”라는 부안사람들 말이 있다. 백합은 입을 꽉 다문 채 보름(겨울철)이 지다도 죽지 않고 오래 산다. 이렇게 오래 산다고 해서 ‘생합’이라고도 불리운다. 백합이 입을 벌리고 있다면 그것은 죽은 것이다. 그래서 냉장고가 없던 시절 이 지역 사람들은 백합이 입을 벌리지 못하게 문지방에 놔두고 들며나며 밟아서 백합에게 자극을 줬던 것이다. 자극을 줄 때마다 더욱 움츠리기 때문에 백합의 수명은 길어진다. 백합은 어른 주먹만하게 크게 자라지만 아이들 주먹만한 중간 크기가 먹기에는 좋다. 탕으로 죽으로 구이로 횟감으로 찜으로 요리해 먹는데 맛과 향이 아주 좋다. 또한 백합에는 철분, 칼슘, 핵산, 타우린 등 40여 가지의 필수 아미노산이 들어 있어 영양 면에서도 으뜸이다. 예부터 간질환, 특히 황달에 좋다고 전해지고 있다.
이렇게 뭇사람들로부터 사랑을 받으며 우리네 미각을 사로잡고 있는 백합도 머지않아 이 지역에서 자취를 감출 운명에 놓여 있다. 농지확보를 이유로 갯벌을 메우고 있기 때문이다. 이른바 새만금사업이다. 새만금사업은 부안의 변산면 대항리―고군산 신시도―군산 비응도를 잇는 방조제 33km를 축조하여 내해지역 40,100ha(여의도 면적의 140배)를 농지로 만드는 사업이다.
새만금사업은 13대 대선을 한 해 앞둔 86년, 전두환 정부가 전북지역 주민들의 정서를 달래기 위해 대선 공약용으로 급조하였다. 세계 최대의 간척사업인데도 대선일정에 맞추느라 7개월만에 타당성조사를 마칠 정도로 졸속으로 시작된 사업이 바로 새만금사업이다. 갯벌이 가지고 있는 다양한 가치를 고려하지도 않고, 한 번도 주민들에게 의견을 물어오지도 않았다. 그리고 해양생태계파괴와 새만금호 수질오염으로 예고되는 환경대재앙에 대한 대비책도 없이 세계 최대의 환경파괴사업은 시작된 것이다. 시화호를 보면 새만금을 알 수 있다. 1조원 가까이 들여 바다를 막아 놓고 지금은 어떻게 됐는가? 결국은 거대한 오염호수 하나 만들려고 국토 망가뜨리고 국민의 혈세 낭비한 꼴이 아닌가.
새만금 방조제공사는 현재 전체공정의 60% 넘게 진행되었다고 한다. 그런데 물막이공사 후 내부개발계획까지를 포함한 전체공정으로는 10% 안팎이라고 한다. 물론 지금 이 사업을 포기하기는 쉽지 않을 것이다. 그러나 이 사업을 계획대로 완공하려면 몇 조원이 더 들어가야 한다. 그리고 미래세대에게까지도 영향을 미칠 돌이킬 수 없는 환경파괴를 불러 올 것이 분명한 사업인만큼 중단에 따른 대가가 크더라도 지금 중단하는 것이 옳을 것이다.
갯벌의 중요성은 세계 각국의 연구기관들이 확인한 바 있다. 갯벌은 해양생태계의 보고일 뿐아니라 육지로부터 흘러드는 각종 오염물질을 걸러내고 분해하는 ‘자연정화조’ 역할을 하는 것으로도 밝혀졌다. 갯벌이 수산자원과 환경보호에 기여하는 생산성을 경제가치로 계산하면 농경지에 비해 3∼10배에 이른다는 연구결과도 있다. 그리고 무엇보다도 중요한 것은 60%에 가까운 해양생물이 기수역이나 갯벌에서 산란하고 어린시절을 보낸 다음 먼 바다로 나간다는 사실이다. 그런데도 정부는 이렇게 소중한 수산자원을 가꾸지는 못할망정 국민의 혈세를 막대하게 쏟아 부으면서까지 갯벌을 망가뜨려야만 하겠는가?
세계적으로도 중요한 습지인 새만금갯벌, 우리에게는 더욱 소중하고 미래세대에게는 고이 물려주어야 할 새만금갯벌은 꼭 살아야 한다./풀씨 2000년 6월/글 허철희
글쓴이 : 허철희
작성일 : 2003년 01월 21일 07시 18분